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가 귀 긁는 원인별 증상, 확인 방법, 응급조치

by 창직 2025. 9. 16.
반응형

귀 긁는 강아지 사진

목차

  1. 강아지가 귀를 긁는 대표적인 원인 5가지
  2. 각 원인별 증상과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3.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응급조치와 병원에 가야 할 기준

1. 강아지가 귀를 긁는 대표적인 원인 5가지

강아지가 귀를 자주 긁는 행동은 단순한 가려움 이상일 수 있으며, 여러 원인이 겹쳐 나타나는 경우도 많습니다. 아래는 가장 흔한 원인들입니다.

  • 알레르기 반응: 음식, 환경(꽃가루, 먼지, 곰팡이), 진드기 등이 원인이 되어 귀 내부 또는 귀 주위 피부가 염증을 일으키고 가려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0]{index=0}
  • 귀 진드기(Ear mites): 아주 작은 기생충으로, 귀 속 왁스나 기름 찌꺼기 속에서 번식하며 강한 가려움과 검은 갈색 또는 커피 가루 같은 분비물이 특징입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1]{index=1}
  • 감염(Infection): 세균이나 효모(곰팡이)의 과다 증식이 생겨서 염증, 고름 또는 냄새, 발적 등이 나타납니다. 특히 귀에 습기가 많거나 위생이 좋지 않을 때 자주 발생합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2]{index=2}
  • 이물질 또는 외상(Foreign objects / Trauma): 풀잎, 모래, 벌레, 깔창 등의 작은 물체가 귀 속에 들어가거나 귀를 다치게 해서 가려움 및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3]{index=3}
  • 귀 구조 또는 습도 & 기타 피부 상태: 귀가 늘어져 있는 품종 (예: 플러피 귀를 가진 개), 귀털이 많거나 통풍이 잘 안 되는 경우, 과도한 습기, 피부 자체 상태(피부염, 지루피부, 체내 호르몬 문제 등)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contentReference[oaicite:4]{index=4}

2. 각 원인별 증상과 보호자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알레르기 반응

- 증상: 귀 안팎 피부 붉음, 가려움으로 자주 귀를 긁거나 흔들기, 냄새, 귀 주변 털 빠짐, 가끔 눈물이나 코 간지러움 등 다른 부위 증상 동반.
- 확인 방법: 먹는 음식이 바뀌었는지, 최근 산책 길이나 환경(풀, 꽃가루, 먼지) 변화가 있었는지 관찰. 피부 검사나 알러지 검사 시행 가능.

귀 진드기

- 증상: 매우 심한 가려움 (종종 밤에 더 심함), 귀에서 검은 갈색 또는 커피 가루 같은 분비물, 귀 내부 긁거나 입으로 피해주려는 행동, 머리 흔들기.
- 확인 방법: 귀속 분비물을 조심히 살펴보고, 현미경 검사 가능—수의사가 귀 검체를 채취하여 진드기 유무 확인.

감염

- 증상: 귀 안의 피부가 붉고 부어 있음, 귀 냄새, 진한 색의 분비물(노란색, 녹색, 갈색), 귀 주변 피부 자극, 개가 귀 만지면 아파하길 수 있음.
- 확인 방법: 귀 채취 검사(분비물 스와브), 세균/효모 배양 검사, 수의사 진찰 시 오토스코프(ear scope) 사용하여 내부 상태 관찰.

이물질 / 외상

- 증상: 긁거나 머리 흔들기가 갑자기 시작됨, 한쪽 귀만 집중적 증상, 고통스러워 보이는 행동, 피 혹은 상처, 귀 내부 또는 외부에 눈에 보이는 이물.
- 확인 방법: 귀 안을 조심히 살펴보고, 가능한 한 이물 외부에서 보이는지 검사. 만약 보이지 않거나 깊숙하면 수의사의 도움이 필요함.

귀 구조 및 습도 / 피부 상태

- 증상: 귀가 축 처져 있고 통풍 잘 안 됨, 습기가 자주 머무름, 귀털 많거나 귀청소가 자주 안 되는 경우, 피부가 끈적거리거나 기름지거나 비듬이 많음, 반복적 귀 감염 이력.
- 확인 방법: 귀를 뒤집었을 때 통풍 및 습기 상태, 귀털이 많아서 관리가 힘든지, 물놀이 또는 목욕 후 귀 내부 건조 상태 확인.

귀 청소하는 강아지 사진

3.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응급조치와 병원에 가야 할 기준

가정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

  • 귀 외부를 부드러운 면봉이나 깨끗한 거즈로 살살 닦기 (단, 귀 속 깊게 면봉 넣지 않기).
  • 귀 청소액 사용: 반려동물 전용 귀 청소액을 소량 사용해 분비물을 부드럽게 제거. 저자극성 제품 선택.
  • 목욕이나 물놀이 후 귀 안쪽 건조 유지: 물이 고여 있지 않도록 주의하고, 드라이기로 너무 뜨겁지 않게 말려주기.
  • 귀를 긁지 못하게 보호용 칼라(콘)이나 옷 사용 고려.
  • 알레르기가 의심될 경우, 먹이 변화나 환경 변화 (먼지, 꽃가루, 세탁세제 등) 시도해보고 반응 관찰.

병원에 데려가야 할 기준

  • 귀 긁기가 매우 잦고 귀 만지는 것에 통증 느낌이 있음.
  • 냄새가 지독하거나, 분비물이 많고 색깔이 노랗거나 갈색, 또는 고름 같음.
  • 귀 내부 또는 귀 주변에 상처가 생김 또는 핏자국 보임.
  • 머리를 기울이거나 균형 이상, 귀에서 물이 흐르거나 심한 부기나 피부 변화가 있음.
  • 응급치료에도 며칠 내 증상 호전 없음 또는 반복되는 증상.

※ 이 글은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수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