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중장년 AI공부. 완전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2

by 창직 2025. 9. 3.
반응형

이미지 사진
chatgpt가 생성한 이미지

완전 초보 중년을 위한 노코딩 생성형 AI 8주 학습 로드맵

코딩(Python)도, 데이터 형식(CSV)도, 전문 용어도 모른다는 가정에서 시작합니다. 목표는 “배경지식 0 → 생성형 AI 실습 경험 → 생활 속 활용”입니다. 초등학생에게 설명하듯 쉽게 설명할게요. 매주 작은 결과물을 만들어봅시다. 

도구 바로가기(노코딩 · 생성형 AI)

※ 위 버튼들은 본문에서 설명한 생성형 AI 서비스로 바로 연결됩니다.

학습 개요 & 목차

  • 학습 기간: 8주 / 주 5일(하루 30–60분)
  • 학습 흐름: 개념 맛보기 → 글 생성 → 그림 생성 → 생활 프로젝트 → 사용
  • 최종 결과물: AI 글 5편 + AI 그림 5장 + 생활 프로젝트 3개 + 나만의 AI 원칙 3가지

1단계(1주) — “AI는 똑똑한 글·그림 친구”

목표: AI가 무엇을 해주는지 감 잡기(어렵지 않다, 해보면 된다).

방법

  • 유튜브에서 “생성형 AI란?” 같은 5–10분짜리 짧은 설명 영상 3개 시청.
  • ChatGPT 같은 챗봇을 열고, “오늘 저녁 메뉴 추천해줘(예산 1만 원, 2인)”처럼 생활속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질문을 던져 답을 받아본다.

하루 루틴(30–60분)

  • 영상 10분 → 챗봇 대화 15분 → 배운 점 3줄 기록 5분 → 여유가 있으면 추가 20분 실험.
성과: “AI는 답해주는 친구”라는 첫인상. 무조건 정답이 아니라 참고 의견이라는 감각 익히기.

2단계(2주) — “노코딩으로 AI 글쓰기 맛보기”

목표: 글 생성형 AI를 매일 써 보며, 내 생활 글·메시지·블로그 초안을 빠르게 만드는 법 익히기.

도구(버튼 클릭)

매일 미션(예시 프롬프트)

  • 오늘 하루를 5문장 일기로 정리해줘. 말투는 담백하게.”
  • 가족 소개 블로그 글 초안을 500자 이내로 써줘. 마지막에 따뜻한 한 문장 추가.”
  • 내일 할 일을 5개만 뽑아 체크리스트로 정리해줘.”
  • 건강검진 결과표 이해를 돕는 요약을 부탁해. 어려운 말은 쉬운 말로.”

기록 습관

✓ 스크린샷 저장: 마음에 드는 답은 캡처해서 폴더에 보관
✓ 수정하기: 내 말투·사실관계에 맞게 10%만 고쳐서 사용
✓ 공유해보기: 가족/지인에게 1개 보여주고 반응 듣기
성과(2주): 최소 AI 글 5편 확보(메모·카톡 공지·블로그 초안 등). “AI가 초안을 빨리 만들어주고, 나는 다듬는다” 감각 습득.

3단계(2주) — “그림·사진 AI와 놀기”

목표: 이미지 생성형 AI로 상상한 장면을 직접 그림으로 만들어보며, ‘텍스트 → 이미지’ 경험 쌓기.

도구(버튼 클릭)

이미지 프롬프트 예시

  • 제주 바닷가를 산책하는 강아지, 따뜻한 저녁 햇빛, 수채화 스타일, 엽서 구성”
  • 은은한 가을 단풍 배경의 생일카드, 미니멀한 디자인, 1080×1080”

주간 과제

  • 1주차: 주제 3개로 각각 2장씩 만들어 6장 고르기
  • 2주차: 마음에 드는 스타일을 찾아 3장만 정교하게 재생성
성과(2주): 나만의 AI 그림 5장 완성 → 스마트폰 배경화면/프로필/카드로 활용. “텍스트를 조금만 바꿔도 결과가 달라진다”는 감각 습득.

4단계(2주) — “생활 속 미니 프로젝트”

목표: 생성형 AI를 내 생활 문제에 바로 적용해 작은 성과를 만들기.

프로젝트 예시(3개 중 택 2~3)

  1. 블로그/카톡 글: AI가 준 초안을 내 말투로 다듬어 게시(공지·소개·후기 등).
  2. 여행 준비: “부산 2박3일 일정”을 AI에게 받되, 예산/취향/날씨 조건을 구체화해 수정 요청.
  3. 선물 고르기: 받는 사람의 취향·예산·상황을 적어 5개 후보 + 이유를 요청하고 비교표 작성.
  4. 그림 카드 제작: 이미지 생성 + 한 줄 메시지로 가족 생일/감사 카드를 만든 뒤 인화/메신저 전송.

작업 절차(공통)

단계 해야 할 일
1. 요청 필요·조건·분량을 3줄로 쓰고 AI에 전달(예: 예산 10만 원, 글 300자, 말투 ‘따뜻하게’).
2. 수정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을 ‘구체적으로’ 고쳐달라 요청(예: 2일차 코스만 저녁에 비 오는 경우로 변경).
3. 최종 내 말투·사실관계를 반영해 10% 손보기 → 저장/공유.
성과(2주): 생활에 바로 쓰는 프로젝트 3개 완성(글·계획표·이미지 카드). “AI 초안 + 내 판단” 합쳐 결과물 품질을 높이는 경험.

5단계(1주) — “책임감 있게, 똑똑하게 AI 쓰기”

목표: 안전·윤리·품질을 지키는 최소 원칙을 몸에 익히기.

핵심 원칙(메모해 붙여두기)

  • 확인 습관: AI 답은 정답이 아닐 수 있다 → 중요한 정보는 2개 이상 출처로 재확인.
  • 개인정보 보호: 주민번호·계좌·주소·의료정보·얼굴 사진 등 민감 정보 금지.
  • 공동 저작 감각: “AI 초안 + 나의 수정”으로 결과물을 만들고, 출처·주의사항을 함께 표기.

1주 실천

✓ 체크리스트 작성: 나의 AI 사용 3원칙을 한 장에 정리
✓ 사례 점검: 내가 만든 글/그림 중 1개를 원칙에照해 재검토
✓ 공유: 가족/지인에게 원칙을 설명하고 피드백 받기
최종 성과(8주 전체): AI 글 5편 + AI 그림 5장 + 생활 프로젝트 3개 + 나만의 AI 원칙 3가지 완성.

하루·주간 루틴(꾸준히, 무리 없이)

  • 평일(30–60분): 영상/가이드 10–15분 → 실습 15–30분 → 기록 5–10분
  • 주말(1시간): “이번 주 결과물”을 정리해 1개 이상 공유(스크린샷·이미지·글)

속도가 느려도 괜찮습니다. 멈추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 본 로드맵은 완전 노코딩 학습자에게 맞춰 실습 중심으로 구성해 봤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