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는 청년과 중장년층의 주거, 취업, 자산 형성, 사회참여를 돕기 위해 다양한 보조금과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종류가 너무 많아 헷갈리는 경우가 많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기준 청년 보조금과 중장년 보조금을 정리하고,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표까지 준비했습니다. 지금 본인에게 해당되는 지원금을 꼭 확인해 보세요!
1. 청년 보조금
청년층(만 19세~34세)은 자산 형성과 취업, 주거 안정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주요 제도
- 청년월세지원 – 월 최대 20만 원, 총 240만 원 주거비 지원
- 희망 두 배 청년통장 – 서울시 매칭으로 3년 후 최대 1,080만 원 자산 마련
- 청년내일 채움공제 – 중소기업 청년 근속 지원, 2년 후 최대 1,200만 원 적립
- 청년도약계좌 – 5년간 저축 시 최대 5,000만 원 목돈 마련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 지급
2. 중장년 보조금
중장년층(50세 이상)은 주로 고용 유지, 재취업, 사회참여에 중점을 둔 제도가 많습니다.
주요 제도
-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 기업에 최대 960만 원 지원
- 고령자 고용지원금 – 60세 이상 근로자 증가 시 분기당 30만 원 지급
-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 정년 연장·유예로 계속 고용 시 월 30만 원 지원
- 사회공헌활동 지원사업 – 50~70세 은퇴자에게 연 최대 182만 원 지원
- 국민취업지원제도 (II유형) – 35~69세 구직자에게 취업 훈련 수당 월 최대 28만 원 지급
3. 청년보조금 / 중장년 보조금 한눈에 비교
구분 | 제도명 | 지원 대상 | 주요 혜택 | 비고 |
---|---|---|---|---|
🟦 청년 보조금 (만 19~34세) | ||||
주거 | 청년월세지원 | 서울시 거주 청년 | 월 20만 원, 최대 240만 원 | 12개월 지원 |
자산 형성 | 희망두배 청년통장 | 서울 거주 저소득 근로 청년 | 3년 후 최대 1,080만 원 | 서울시 매칭 지원 |
근속지원 | 청년내일채움공제 | 중소기업 취업 청년 | 2년 후 최대 1,200만 원 | 기업+정부 매칭 |
자산 형성 | 청년도약계좌 | 소득 조건 충족 청년 | 5년 후 최대 5,000만 원 | 정부 지원 포함 |
취업지원 | 청년구직활동지원금 | 미취업 청년 | 월 50만 원, 최대 6개월 | 취업 성공 시 추가금 |
🟧 중장년 보조금 (만 50세 이상) | ||||
고용지원 | 신중년 적합직무 고용장려금 | 50세 이상 고용한 기업 | 최대 960만 원 (1년) | 3개월당 80만 원 |
고용지원 | 고령자 고용지원금 | 60세 이상 근로자 고용 | 분기당 30만 원, 최대 2년 | 총 240만 원 |
계속고용 | 고령자 계속고용장려금 | 60세 이상 계속고용 | 월 30만 원, 최대 2년 | 총 720만 원 |
사회참여 | 사회공헌활동 지원 | 50~70세 미만 은퇴자 | 연 최대 182만 4천 원 | 전문성 필요 |
구직지원 | 국민취업지원제도 (II유형) | 35~69세 구직자 | 월 최대 28만 원 훈련수당 | 취업서비스 포함 |
4. 정리 및 결론
청년 보조금은 자산 형성과 취업 초기 정착을 지원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고, 중장년 보조금은 고용 유지와 사회참여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청년이라면 장기 저축 상품(청년도약계좌, 내일 채움공제 등)을 활용해 목돈 마련을,
👉 중장년층이라면 고용지원금과 사회공헌활동 제도를 활용해 안정적 재취업 기회를 노려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에 각 사이트의 신청 메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연결해 두었습니다.
📌정부 지원금은 매년 조금씩 조건과 금액이 변동되므로, 반드시 공식 사이트를 통해 최신 공고를 확인하세요.
반응형